본문 바로가기

Korean History

이름없는 독립운동가 최재형 동의회, 권업회 만들다.

이름없는 독립운동가들이 많다. 그 중에 대표적인 인물이 시베리아 항일 운동의 대부로 알려진 최재형이다. 최재형은 재력가이면서 베푸는 삶을 살았던 인물이나 사실  최재형은 아버지는 노비 어머니는 기생인 노비 출신이다. 1860년대 함경북도를 덮친 흉년때 가난과 학정을 피해 수많은 한인들이 러시아로 도망을 갔다. 1869년에만 약 6000명의 조선인이 연해주로 이주했고 이에 러시아 정부는 토지를 제공, 세금 면제 등 포용 정책을 펼쳤다. 이때 러시아 학교에 입학한 최초의 한국인 학생이 최재형이었다. 

 

 

 

\러시아 학교에서 러시아어를 익힌 최재형은 이후 배를 타며 선원 생활을 했고 생활기반을 다졌다. 최재형은 러시아 주요 도시에서 생활을 하며 통역과 군수사업으로 단기간에 부를 축적하며 출세의 기반을 다졌다. 이렇게 최재형은 시베리아 한인 사회에서 가장 출세한 인물이 되었고 동시에 한인 거주 지역 행정가로 임명되었다. 

 

최재형이 항일 운동을 한 계기 

최재형은 러시아에 거주하는 한인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주고 졸업생들의 대도시 학교 유학을 지원했다. 이런 재력가이자 부자인 최재형은 항일 퉁쟁 운동의 중심인물이었다. 1904년 러일 전쟁이 발발하고 러시아군 통역관 활동 중에 만나게 된 간도 관리사 이범윤을 통해 대한제국의 항일운동을 목격하게 된다.

 

동의회 결성 

러일 전쟁에서 러시아가 패하게 되면서 최재형은 박영효의 요청으로 일본을 방문해 그들의 문화를 접한 후 1908년 동의회를 결성한 후 수많은 국내진공작전을 펼친다.  

 

* 동의회 뜻은 의리로 뭉친 사나이들이란 의미 

*국내진공작전: 두만강  근처의 일본군 수비대를 공격 국내의 무장투쟁으로 연결하는 작전. 

 

동의회 조직도

 

회장 이위종은 헤이그 특사로도 활약하며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한 인물이고 이범윤은 간도 일대 의병을 이끌던 사람이다. 엄인섭은 항일투쟁의 선봉에 섰다가 나중에 밀정이 된다. 동의회 의병부대 안중근으로 구성된 조직이다. 

 

동의회 활동 

동의회의 무장활동이 2개월간의 짧은 승리 후 많은 일본군의 투입으로 이후 패전이 이어지게 되니 최재형은 근거지를 대도시로 이동해 대동공보라는 신문을 통한 선전 활동을 시작한다. 

 

대동공보

 

또한 소수 인원이 식민 통치 기관을 폭파, 침략 행위에 앞장선 일본인을 사살하는 무력 투쟁인 의열투쟁을 전개하게 되고 이때 조선통감부 초대 통감 이토 히로부미가 러시아를 방문한다는 소식을 듣게 된다. 이 의열투쟁은 안중근 의사에 의해 이루어졌고 동지를 규합해 동의단지회 결사단을 구성하게 된다. 단지동맹(1909년 3월 연추 근처에서 동지들과 왼손 약지를 잘라 혈서로 맹세)을 하게되고 이때 손가락을 자르는 의식을 거행했던 곳이 최재형의 집이 있던 곳이다. 

 

단지동맹장소
단지동맹비

 

최재형은 이때 안중근의 모든 안위를 보살폈다.  안중근 의사 의거에 필요한 권총 및 재정을 지원했고 안중근 의사가 체포된 후에는 안중근 의사의 변호를 위해 변호사도 파견해줬다. 또한 안중근 의사의 가족들을 러시아로 데려와 보호해줬다. 

 

이토히로부미 암살한 하얼빈 의거의 안중근 의사

 

 

권업회 조직 

1909년 안중근 의사의 거사 이후 1910년 3월 26일 안중근 의사는 뤼순 감옥에서 사형을 당하게 되고 1910년 8월 29일 한일병합이 되니 일제는 러시아를 압박해 러시아지역 독립운동가를 탄압하도록 했고 급변하는 정세 속에 고민에 빠진 최재형은 권업회를 조직한다. 권업회는 권할 권 업 업, 모일 회로 상업을 증진시키는 모임으로  위장해 무장투쟁을 준비한다. 이렇게 1910년에 권업회를 통해 활발히 항일 투쟁을 이어나갔다.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나면서 같은해 상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고 이때 최재형은 임시정부 재무총장으로 임명된다. 이렇게 최재형은 항일투쟁에 재정적 지원과 구심점 역할을 수행했는지 알수 있다. 

 

 

연해주 참변 : 독립운동 암흑기 (최재형 선생의 죽음) 

1904년 러일전쟁때 러시아 일본은 적대국이였다. 이때는 러시아가 항일투사를 보호했기때문에 대놓고 항일운동을 했으나 1914년 제 1차 세계대전때 러시아와 일본이 동맹국이 되면서 러시아를 통해 일본은 항일투사를 압박하게 되니 독립단체들이 지하화되고 만주쪽으로 피신을 하게 된다. 1919년 블라디보스토크를 중심으로 만세운동이 전개되고 일제는 러시아지역의 항일 세력 파괴 작전에 나선다. 1920년 4월 4일 밤 러시아 한인 거주 지역을 기습 대대적인 학살을 자행하면서 이때 연해주 지역 동포 5000여 명이 무참히 죽었고 대다수 독립운동가를 재판 없이 처형했다. 이때 최재형, 김이직 등 한인 지도자들도 처형된다. 1962년 최재형은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되었다. 

 

최재형의 실제 후손들.

 

 

**최재형 선생의 무덤은 어디에 (최재형 선생 고택 방문)

 

동의회를 만든 독립운동가 최재형 선생의 무덤은 어디에 ㅠㅠ

[선을 넘는 녀석들 리턴즈 13,14회 중] 연해주 대표하는 독립운동의 아버지 최재형 선생 임시정부의 김구가 있다면 연해주의 최재형 선생님이 있다. 어린 시절 1860년 8월 15일에 태어난 최재형 선

jangane.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