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orean History/@ Here

부산 제한유엔기념공원 : UN 공원 속 참전국 이야기

유엔기념공원 

7월 27일은 UN군 참전의 날로 우리나라에서 지정되어 있다. 1953년 7월 27일 정전 협정이 체결되어 유엔군의 희생과 봉사를 기리기 위한 것이다. 1950년 10월 중국군이 참전하면서 전쟁이 장기화되자 그로 인해 UN군 사상자가 늘며 유해 안장할 곳이 필요했고 제한유엔기념공원은 1951년 1월 6.25 전쟁 전사자 매장을 위해 UN군 사령부가 조성한 곳으로 전국에 흩어져 있던 장병들의 유해를 모아 안장하기 시작했다. 세계 유일의 UN군 묘역으로 평화를 위해 생명을 바친 11개국 2327명 유엔군 장병들이 잠들어 있다.  

 

부산시 남구 대연동

 

현재 un기념공원 모습

 

휴전 후 1955년 대한민국 국회는 유엔군에 보답하기 위해 이곳 토지를 UN군에 영구 기증하기로 결정한다. 

 

한국전쟁 참여한 파견 병력은 총 195만 7733명

 

UN 묘역이 부산에 조성된 이유는 부산국제영화를 하던 곳이 구 UN공군기지가 있던 자리일 만큼 un 기지가 많은 곳이 부산이다. 당시 임시 수도가 부산이였기 때문이고 1951~1954년 UN군 참전용사 약 1만 1천명의 유해가 안장되었다. UN이 창설된 이래 UN군을 파병한 최초의 전쟁이자 지금까지 유일한 전쟁이 한국전쟁이다.  당시 참전국은 미국을 포함 총 16개국이 전투 병력으로 파견되었고 의료지원팀 6개국이 파병되어 총 22개국1755184명이 참전했고 그외 40개국이 물자 수송을 지원했고 6개국이 전후 복구를 지원했다. 

 

십자가 가운데 로열 오스트레일리아 표기 Royal Australia/ 오른쪽 4만 896명의 참전용사 이름이 적혀 있는 명비

 

참전국 이야기 

터키

형제의 나라로 불리는 터키도 21212명이 한국전쟁에 참전했고 영국 다음으로 두번째로 많은 수의 462명의 터키군이 이곳에 잠들어 있다. 이들의 대부분은 자원병이었다. 

 

 

 

콜롬비아 

2023년 처음으로 재한유엔기념공원에 콜롬비아 참전용사가 안장되었다. 중남미 국가 중 6.25 전쟁에 유일하게 콜롬비아 국가가 해군, 육군을 포함 약 5100명을 파병해서 2023년 안장식은 보다 뜻깊은 행사였다.

 

인도

인도는 의료지원 국가로 제 60 야전 병원을 란가라지 중령이 지휘했고 1950년 11월 20일 부산에 상륙해 영국 제 27여단을 지원했다. 당시 수준 높은 의술을 발휘해서 한국 정부로부터 훈장도 수여받았다. 

 

인도 의료지원

 

 

에티오피아

아프리카의 에티오피아는 6.25 전쟁 당시 한국에 강뉴부대라는 지상군을 파병한다. 강뉴는 초전박살이라는 뜻이다. 강뉴 부대는 에티오피아의 황실근위대를 중심으로 설립된 부대로 유서 깊은 나라 에티오피아는 제국주의 시대 무력으로 자주권을 지킨 유일한 나라이다. 가장 힘들었던 시절은 1935년 무솔리니의 이탈리아 군대가 에티오피아를 침공해 그들의 자유를 억압 27만명 정도가 희생을 당했기 때문에 6.25 전쟁을 보는 그들의 시각은 누구보다 남달랐다. 에디오피아에서 한국은 9328km 로 1951년 4월 13일 수도 아디스아바바에서 출항해 이동에만 약 3주 소요된 긴 항해 끝에 1951년 5월 6일 부산항에 상륙했다. 그러나 에티오피아는 한국의 겨울때문에 정말 고생을 많이했던 나라이다. 

 

에티오피아 강뉴부대 / 맨발의 아베베  

 

에티오피아에서 유명한 아베베도 한국전쟁에 참전했는데 1960년, 1964년 올림픽 2연패한 역사상 가장 위대한 마라토너로 알려진 인물로 로마 올림픽때 맨발로 뛰어서 맨발의 아베베로 유명하다. 강뉴부대는 철원과 화천 등 6.25 주요 격전지에서 총 253번의 전투가 있었고 백전백승을 했고 단 한명의 포로도 없고 전사자 시신도 모두 수습해 귀향했다. 

 

미국

한국전쟁 참여한 파견 병력은 총 195만 7733명으로 미국이 전체 병력의 약 90% 178만 9천 명을 파병했기에 UN 공원에서 가장 많은 유해를 모신 나라는 미국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미국의 전사자는 약 3만 6천 명정도로 그 중에 실제로 이곳에 안장된 유해는 약 40구이다. 미국의 문화는 전사자의 유해를 본국으로 보내 장사를 지내는 것이기 때문에 안장 비율이 많지 않다. 

 

 

리차드 위트컴 장군은 누구?

한복을 입고 있는 미국인은 오른쪽 남성은 미국의 장성, 왼쪽 여성은 부관으로 추정된다. 6.25 전쟁 이후 미군들은 부대원들과 함께 6.25 전쟁의 부상자와 피란민을 위한 병원 건립을 위해 모금 활

jangane.tistory.com

 

 

영국

그래서 안장 비율이 가장 높은 국가는 영국이다. 영국의 전사자는 1177명 중 892분의 유해가 UN 공원에 안장되어 있다. 영국문화는 출생지 뿐만아니라 사망지에도 의미를 부여하는 문화이기 때문에 영국군이 가장 많이 묻혀있다. 

 

캐나다 

미국과 영국 다음으로 많은 군인을 파병한 나라가 캐나다로 2만 6천명이 참전했다. 

 

 

유엔참전용사 추모관: 참전용사들의 영령을 추모하기 위해 건린된 장소

 

안장 전사자 현황 /un 공원 홈페이지 참조

 

무명용사의 길 

UN기념공원 안에는 11개의 계단으로 만들어진 무명용사의 길이 있다. 11개의 계단, 11개의 분수대, 11개의 소나무로 조성되어 있는데 1951~1953년에는 유엔군 전사자  약 11,000명의 유해가 안장되어 있었다.  이후 참전국 중 7개의 국가가 유해를 본국으로 송환해 가면서 지금은 11개 국가 2328의 유해가 잠들어 있다. 11은 이곳에 잠들어 있는 11개국을 의미한다. 

 

무명용사의 길

 

그래서 매년 11월 11일 오전 11시에는 2007년부터 '턴 투워드 부산' UN참전 용사를 위한 국제추모식이 이곳에서 열리고 있다. 이 행사는 캐나다 참전용사였던 빈센트 커트니의 제안으로 전세계 참전국이 같은날 같은 곳 부산을 향해 1분간 묵념을 한다.  원래 11월 11일 11시는 1차 세계대전이 끝난 시점으로 대체로 유럽의 많은 국가들이 매년 이 시각에 1차 대전 참전 전몰병사들을 기리며 묵념을 하는 것이 관례이다. 이것을 1차 대전에 국한하지 않고 모든 전쟁으로 희생된 이들을 기리기는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Turn Toward Busan 행사 장면.

 

UN기념공원은 묘지이며 성지로 평화의 상징인 곳이다. 유엔군 위령탑은 유해를 찾지 못한 실종자들과 유해를 찾았으나 신원불명의 무명의 용사를 위한 곳이다. 

 

https://www.unmck.or.kr/kor/main/  (홈페이지) 

 

 

6.25 전쟁 대한해협 해전 /한국노무단/유모차수송작전 in 부산 유엔평화기념관(22)

 

6.25 전쟁 대한해협 해전 /한국노무단/유모차수송작전 in 부산 유엔평화기념관(22)

[선을 넘는 녀석들 리턴즈 21,22회] 오늘의 탐사지: 부산 (동아대 석당박물관- 유엔평화기념관) 주제: 6.25 전쟁 70주년 특집 동아대 석당박물관 서울로 다시 수도를 이전 후 경남 도청과 부산지방검

jangane.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