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orean History

한강 다리 폭파 사건 (이승만 대통령 제일먼저 도망, 부역자 처벌? )

이승만 대통령 도망

한국 전쟁은 북한의 기습공격으로 전쟁이 시작된 후, 북한군이 빠르게 남쪽으로 진격하면서 대한민국 수도 서울은 함락될 위기에 처했다. 이때 이승만 대통령은 창덕궁 비원에서 낚시를 하고 있다. 이 소식을 들은 이승만 대통령은 1950년 6월 27일, 국회의 결의 없이, 아무에게도 알리지 않고 비밀리에 서울을 떠났다. 이승만 대통령은 프란체스카 여사와 황규명 비서만을 데리고 서울을 떠나 대전을 거쳐 대구로 이미 가있었다. 이들은 특별 열차를 이용했는데 담요조차 제대로 덮지 못하고, 급하게 트렁크를 들고 급박하게 떠났던 것이다.

 

 


이 대통령이 서울을 떠난 사실은 매우 충격적이었고, 국민들 사이에서는 큰 논란이 되었다. 당시 서울에 남아 있던 많은 사람들이 북한군에게 잡히거나 납북되는 상황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이승만 대통령의 이러한 행동은 나중에 많은 비판을 받았다. 그 이유는 피난 중에 이승만 대통령은 대전의 충남지사 관사에서 국민들에게 메시지를 녹음했는데 그 메시지는 "서울은 안전하다. 모두 움직이지 말고 자리를 지키고 있어라, 국군이 잘 싸우고 있다 "라고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실제 상황은 이 메시지와 전혀 다르게 진행되고 있었고 서울은 이미 북한군에 의해 함락될 위기에 처해 있었다. 

 

이승만 대통령의 피난과 그에 따른 행동들은 한국전쟁 초기 혼란과 정부의 무대책 상태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이었다. 이 사건은 당시 정부의 리더십과 대응에 대한 많은 논란과 비판을 낳았고, 한국전쟁사에서 중요한 에피소드로 기억되고 있다. 

 

한강다리 폭파사건 

1950년 6월, 한국전쟁이 한창일 때인데 서울은 정말 위기 상황이었다. 이승만 대통령은 이미 대전으로 피난 간 상태였고, 서울은 북한군의 남침으로 인해 큰 혼란에 빠져 있었다. 6월 28일 새벽, 사람들은 북한군을 피해 한강교를 건너 피난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황이 급변해 북한군의 탱크가 미아리 고개를 넘어서며 국군의 최후 방어선이 무너지기 시작한다. 

그래서 국군은 한강대교와 철교를 폭파하기로 결정하고 이때 폭파 대상이었던 다리는 한강철교, 한강교(인도교), 광진교였는데, 특히 한강교는 인도교로 중요한 이동 경로였다.  당시 강남은 비교적 인구가 적은 시골 지역이었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강북에 살고 있었다. 문제는 폭파 결정이 갑작스럽게 이뤄졌다. 다리 위에 많은 사람들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폭파가 진행됐고, 이로 인해 아군과 민간인 수백 명이 희생됐다. 

 

대통령의 방송 연설이 있고 난 다음날  한강대교와 한강철교 두개를 폭파
개전 3일 만에 한강교 인도교 폭파 현장


실제로 북한군이 다리에 도착하기 전, 폭파 명령이 내려졌고, 이 때문에 많은 논란이 있었다. 폭파 결정이 너무 서둘러졌고, 전략적으로도 제대로 된 준비가 안 되어 있었다고 보는 시각이 많다. 한강교 폭파 당시 단지 북한군 탱크 3대가 서울로 진격하는 시점에 이루어졌고 한강 이북에 많은 사람과 국군 병력이 있었다. 

 

그래서 이후에 한강교 폭파 사건의 책임자를 가려내기 위해 신성모 국방부 장관, 장경근 국방부 차관, 채병덕 참모총장, 마지막으로 최창식 공병감이 있었는데 이 모든 책임을 최창식 공병감이 모두 뒤집어 쓰고 군법 회의를 거쳐 사형을 당한다. 1962년 최창식 공병감의 부인이 재심 신청 후 1964년 판결이 무효가 된다. 

 

 

 

부역자 처벌 무엇을 위해? 

이승만 정부가 한강 다리를 끊고 거짓 방송을 했던 것은 후에 부역자 처벌과 연결돼 정치적 책임 회피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인천상륙 작전으로 서울이 수복된 후, 서울이 재수복된 후 이승만도 다시 서울로 돌아온다. 그리고 갑자기  부역자로 지목된 사람들에 대한 처벌을 시작한다.

 

부역자는 북한 정권과 협력했거나, 북한군의 남침을 지원했던 사람들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한국전쟁 당시, 서울이 북한군에 의해 함락된 후, 많은 남한 주민들이 북한 정권의 통제 하에 놓였다. 이 시기에 북한 정권은 남한 주민들을 자신들의 체제에 통합하려고 다양한 방법을 사용했고 이 과정에서 일부 남한 주민들은 생존을 위해 북한 정권과 협력하게 되었고, 이들은 전쟁이 끝난 후 '부역자'로 지목된다. 

 

 

 

전쟁 상황에서 이들 중 일부는 자발적으로 북한과 협력했지만, 다수는 생존을 위해 불가피하게 협력한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어, 북한군에 의해 강제로 징집된 사람들, 북한 정권의 명령에 따라 행동했던 공무원이나 교사들, 심지어 단순히 북한 정권 하에서 생활했던 일반 시민들도 부역자로 간주되었다. 

실제로 북한 정권과 협력했던 사람들뿐만 아니라, 북한 점령 기간 동안 일정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거나, 심지어 오해나 신고로 인해 잘못 지목된 많은 무고한 시민들이 부역자로 몰려 처벌을 받았다. 이러한 처벌은 종종 불공정하고 잔혹했으며, 당시의 혼란스러운 상황과 불충분한 법적 절차로 인해 인권 침해가 발생했던 것이다.

 

박완서 작가의 작품 중에서 한국전쟁 당시 부역자 문제를 다룬 책은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 는 친오빠도 이런 이유로 부역로 몰려 처형당산 사례를 전쟁의 참혹함과 그로 인한 개인과 가족의 아픔을 세밀하고 감동적으로 그려내며, 당시 사회의 혼란과 부조리를 생생하게 전달하고 있다. 이 책에서 박완서는 한국전쟁 기간 동안의 경험과 전쟁 이후의 사회적 혼란, 특히 부역자로 몰려 억울하게 처벌받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이처럼 부역자 문제는 한국 현대사에서 민감하고 복잡한 이슈로 남아 있으며, 전쟁의 혼란 속에서 발생한 다양한 인권 문제들과 관련이 있다. 이 문제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연구와 토론의 대상이 되며, 전쟁과 분단의 아픔을 상기시키는 중요한 사건으로 인식되고 있다. 정부가 자신들의 정치적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과장된 처벌을 실시했을 가능성이 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