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orean History

휴전회담 쟁점 포로 송환 무엇이 문제였나?

포로 송환 문제 

정전 협상의 최대 쟁점은 포로 송환 문제였다. 그 이유는 포로의 숫자에 큰 차이가 있었다. 공산군 측의 유엔군 포로는 약 1만 2천명 정도였고 UN측의 공산군 포로는 약 13만명이었다. 약 10배 차이였다. 그러나 문제는 유엔군이 억류하고 있는 공산군 포로에 북한군과 중국군만 있으면 문제가 없었으나 북한이 남한을 점령한 이례 의용군이라는 이름으로 강제징용을 당한 남한의 국민들이 북한군에 포함되어 있었다. 강제 동원된 남한 국민을 북한으로 돌려보낼 수는 없었다. 그래서 포로 구성의 차이와 숫자의 차이로 인해 무려 1년 반이나 대립한 포로 송환문제가 계속되었다. 자동 송환을 할 것인지? 아니면 자유송환을 할 것인지에 대한 것이었다. 

 

*자동송환: 국적에 따라 당사국으로 바로 송환

*자유송환: 포로들의 의사를 존중 원하는 나라로 송환. 

 

북송을 권유하는 북한 측에 설전으로 맞서는 반공포로 모습

 

무엇보다 공산군 포로 다수가 북한으로 송환을 거부했다. 중국군 내에서도 국민당 출신 중국군이 있었다. 그래서 이들도 대만행을 요청했다. 제 3국행을 요청한 사람도 많았다. 

 

거제도 포로수용소에서 북송 거부 포로들을 비무장대 지대로 이송했고 그곳에서 남한 측과 북한측의 설득을 받게 된다 남한으로 돌아갈지 북한으로 돌아갈지에 대한 것이었다. 한국전쟁 당시 거제포로 수용소에서는 인민군 15만명 중국군 2만 명으로 최대 17만 명 정도가 수용되어 있었다. 이 중에 10만명 정도가 돌아가지 않겠다고 한 것이다. 이들을 감시하는 경비병력은 9500여명이어서 폭동에 대처하기 어려운 수준이었다. 

 

거제 포로수용소 납치사건 

1952년 5월 10일 거제 포로수용소 소장 돗드 준장이 납치되는 사건이 있었다 포로들은 소장과 면담을 요청해 수용소장을 유인해 납치를 한 것이다. 이 사건의 배후는 북한군 측 휴전 협상의 대표였던 남일이 비밀리에 지령을 내렸던 것이다. 

 

 

 

또한 수용소안 라디오를 통해 협상 내용도 알수 있었고 북한군 측은 수용소에 공작원을 투입했다. 납치 사건을 휴전협상 카드로 사용하려는 북한의 교모한 전략이었던 것이다. 이들의 요구사항은 송환 심사를 중단, 포로의 부당한 학대를 인정하라는 것이었다. 이렇게 유엔군이 강제송환심사를 했다고 꾸며낸 공산군의 요구로 후임 소장 콜슨 준장을 파견하고 공산군 포로의 요구를 일부 수용하면서 납치된 돗트 준장을 석방시킨다. 

 

이렇게 되니 거제도 옆 포로 수용소에서 연이어 폭동과 반란이 일어나게 된다. 

 

포로 송환 문제로 이뤄지지 않았던 정전 협정은 스탈린의 죽음으로  돌파구가  마련된다. 또한 미국도 대통령이 바뀌게 되면서 아이젠하워가 정권을 잡아 조기 종전에 대한 여론이 마련된 것이다. 포로 송환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인도에서 내놓는다. 포로에게 자유의사를 물어보는 등의 절차는 중립국 송환위원회를 구성해 그곳에서 결정할 것을 제시한다.  그래서 11월 3일 유엔총회에서 자유송환이 통과된다.